This is it. it's IT.

UseState 함수 본문

Frontend/React.js

UseState 함수

응애개발자 애기 2022. 3. 31. 09:40
728x90
반응형

동적인 값 = 상태(State)

사이트에서 값이 동적으로 바뀌는 경우, 상태를 관리해야 한다. 

 

useState()는 16.8버전부터 도입된 Hooks라는 기능의 일부분이며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원래 코드는 이렇다

const numberState = useState(0);
const number = numberState[0];
const setNumber = numberState[1];

 

이 코드를 간략화시켜 아래와 같이 만들 수 있다.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0);

첫번째 원소 number = 현재 상태 값 변수

두번째 원소 setNumber = 상태 값을 갱신해주는 Setter함수 

useState 괄호 안의 값 = 상태의 초기 값

 

 

상태 값을 갱신할 때 setNumber 함수를 쓴다. 

 

const plusNum = () => {
	setNumber( preNum => preNum + 1);
}

 

 

 

 

 

 

 

 

 

https://xiubindev.tistory.com/97

 

React Hooks : useState() 함수

리액트 컴포넌트에서 동적인 값을 상태(state) 라고 부른다.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컴포넌트의 상태값이 동적으로 바뀔 경우에는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React Hooks 가 나오기 이전에는

xiubindev.tistory.com

 

728x90

'Frontend > Reac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 Styled component 사용하기  (0) 2022.04.01
React 프로젝트 생성 시 보안오류 문제 해결  (0) 2022.04.01
React의 기초  (0) 2022.03.29
React , 디버깅  (0) 2021.11.17
React  (0) 2021.11.1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