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스크립트
- 코드 시각화
- 로그인 기능
- 자바
- 값 가져오기
- 그딴건없었다
- MySQL
- jstl
- 1인개발
- C언어
- 웹 퍼블리싱
- SQL
- jsp
- SpringBoot
- Python
- CSS
- spring
- 문서객체모델
- 깃허브
- 타입 오류
- nvl함수
- java
- 코드 가시화
- 쿼리 오류
- REACT
- 전처리도구
- 렌파이
- 코드 이해하기
- 헬생아
- react-three-fiber
- Today
- Total
목록Frontend (18)
This is it. it's IT.
프로젝트 세팅은 .xprj 포맷의 파일을 넥사크로에서 열면 된다. generate path를 잘 지정해야 프로젝트의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generate path로 넥사크로 파일이 웹에서 인식할 수 있는 javascript로 compile되어 저장되기 때문 Tools > options > Build > Generate Path 에서 경로를 지정한다.
https://mingule.tistory.com/61 React에서의 querySelector, 잘 쓰고 있는 걸까?(feat. Ref) 들어가기 Vanilla JS를 사용하면서, DOM을 조작하기 위해 정말 많은 DOM Selector들을 쓰곤 했다(querySelector, getElementById, getElementByClassName 등). 하지만 React를 사용하게 되면서 querySelector를 쓰는 일은 거의 mingule.tistory.com 명령형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밍의 절차를 세세하게 명시한다. 선언형 프로그래밍 - 프로그램의 절차를 명시하지 않고 무엇을 원하는지만을 명시하므로 - 간략한 코드를 짤 수 있다. 리액트는 선언형 프로그래밍을 지향하는 라이브러리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helmet은 말그대로 head에 쓰는 보호대자나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eact-helmet은 문서의 head로 가는 direct Link라거 하네여 ㅋㅋㅋㅋㅋㅋ 이름 존나 기가막히게 지었넹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이 안에 css, favicon, title 등을 넣으면 head에 연결되어 적용된다는거... 개쩌넹옄ㅋㅋㅋㅋ
nested Router는 웹페이지를 이동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url을 통해 내용을 보여주는 것이다. Chart Price 를 누르게 되면 해당 url을 수용하여 Route가 해당하는 내용을 보여주게 된다. Chart를 누르면 바로 아래에 Chart를, Price를 누르면 Price의 내용을 보여준다.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탭(Tab)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사용하고자 하는 api의 내용을 console.log()를 이용하여 불러온다. 콘솔에 찍힌 객체를 오른쪽 클릭해서 store object as a global variable 클릭한다 그러면 temp1, temp2 이런 식으로 임시 변수로 콘솔에 저장된다. 그러면 이렇게 쓴다. 콘솔에 Object.keys(temp1).join(); 이렇게 치면 각각의 키가 한줄로 나온다. 이 키들에 대한 타입을 얻고 싶을 때는 이렇게 작성한다. Object.values(temp1).map(v => typeof v).join(); 그러면 객체의 타입이 한줄로 쥬르륵 나온당. 이거를 코드창에 복사해와서 ctrl+D로 쉼표를 모조리 선택 후 지우고 줄바꿈한다아.
npm i react-router-dom or yarn add react-router-dom 일단 얘네를 설치한다 import { Link } from "react-router-dom"; 임폿 하고 클릭하세요 그러면 a태그 대신 Link라는 태그를 이용해 url을 변경하고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다 . href라는 속성이 아닌 to={``} 속성을 사용한다.
https://theubermensch.tistory.com/191 [React/Three] 처음 만나는 three.js (2) 목표 점검하기 처음 만나는 three.js (1)에서 three.js 에 대한 아주 기초적인 이해를 마쳤다. 이번에는 react-three-fiber 에 대해 아주 간단하게 알아보고( three.js 를 react 에서 어떻게 JSX로 작성하는지 알. theubermensch.tistory.com 대단한 걸 찾았다... 요즘 CodeSandbox라는 곳에서 온라인으로 작업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는 걸 알고 신나하던 참이다. 여기서 다른 사람들이 만든 리액트 코드들을 구경할 수 있는데 .. . . 디자인적으로 디게 독창적인 코드를 봐서 어떻게 하는 것인지 궁금했다. https://..

vscode 사용하여 리액트 프로젝트 할 때 rafc (react arrow function component) 치고 엔터 누르면 리액트 화살표함수 템플릿?이 저절로 생긴다. 마찬가지로 rfc 등등을 입력해도 같다.
float: left; 혹은 float: right; 를 사용하면 좌측 정렬, 혹은 우측 정렬을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block인 태그들이 float 속성을 만나면 width를 100%차지하지 않고 , 각자의 부피만큼 차지한다?????????????????????????? display: flex; 와 비슷하지만 쫌 다른 속성이다????? (flex는 부모태그에 속성을 부여하면 자식 태그가 전부 한줄 정렬되지만.... ) (float는 각각의 태그들한테 전부 속성을 줘야하는 것 같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