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it. it's IT.

파이썬 자료형 본문

정보처리기사(2022)/6.프로그래밍언어활용

파이썬 자료형

응애개발자 애기 2022. 4. 18. 15:42
728x90
반응형

파이썬의 자료형은 다음과 같이 나눠져있다.

 

세트형

리스트형

튜플형

딕셔너리형

 

Set

중복 X, 순서 X

s = {1, 5, 7}

s.add(3) # 3이 추가됨. {1, 3, 5, 7}
s.add(5) # 5는 이미 존재하므로 추가되지 않음.
s.update([1,2,3,4]) # 1,2,3,4를 동시에 추가함. 하지만 1,3은 이미 존재하므로 2,4만 추가

s.remove(1) # 1이라는 요소를 제거

print(s) # {2,3,4,5,7}만 남게 되었다.

 

List

중복 O , 순서 O

l = [3,5,7]

l.append(3) # 리스트에 3을 추가. [3,5,7,3]
l.insert(2,4) # 해당 리스트의 2번지에 4라는 값을 추가한다. [3,5,4,7,3]

l.remove(3) # 3이라는 요소를 지운다. 3이 중복되는 요소라면, 앞쪽에 있는 3을 지운다. 

print(l) # [5,4,7,3]

print(l[ :2]) # 콜론(:)앞이 생략되면 0이란 뜻이다... l[0:2]는 0부터 2까지...
# 즉, 0부터 2까지의 요소만 출력하라는 뜻이다. (0<=x<2)

# [5,4]를 출력하게 된다. 0,1번째 요소만 출력하고 2번째는 출력하지 않는다.

 

 

Tuple

생성 후에 추가,수정,삭제 불가능

즉 append, insert, remove 등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 

a = (4,2,7,3,5)

이렇게 ()를 이용하여 정의한다. 

 

튜플 슬라이싱... a[시작값 : 끝 값 : 스텝(한번에 해당 스텝만큼의 수를 이동)]

a[0 : 3 : 2] # (4,7)

 

 

Dictionary

키:값 형태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

d = {'A':5, 'C':4}

d['K']=7 # K라는 키에 7이라는 값을 추가. {'A':5, 'C':4, 'K':7}

del d['C'] #키가 'C'인 값을 삭제 {'A':5, 'K':7}


d['K']=6 # K에 대한 값을 6으로 변경. {'A':5,'K':6}

 

728x90

'정보처리기사(2022) > 6.프로그래밍언어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python - for each문  (0) 2022.04.18
자바 자료형  (0) 2022.04.15
싱글톤 패턴 코드  (0) 2022.04.12
Comments